현대자동차그룹이 향후 4년간 미국에 210억 달러(약 31조 원)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철강에서 부품, 완성차에 이르는 현지 공급망을 구축해 미국 내 생산 기반을 더욱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24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제프 랜드리 루이지애나 주지사 등 주요 인사들과 함께 이 같은 투자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정 회장은 “미국 산업의 미래를 위한 더 강력한 파트너가 될 수 있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대차는 훌륭한 기업”이라며 발표 현장에서 여러 차례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정 회장이 현대차 미국 공장 방문을 요청하자 “좋다”라고 즉석에서 화답하기도 했다. 그는 “현대차그룹이 미국에서 철강을 생산하고 자동차를 만들게 되므로 관세를 낼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번 투자에는 루이지애나주에 연간 270만 톤 규모의 전기로 일관제철소 신설이 포함된다. 이는 국내 기업이 해외에 짓는 세 번째 일관제철소로, 자동차용 강판을 현지에서 직접 생산해 미국 내 현대차 공장에 공급하게 된다. 해당 공장은 1400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지아주 서배너에 위치한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는 이번 주 준공된다. 해당 공장은 당초 30만 대 생산을 계획했으나, 향후 50만 대까지 확대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현대차의 미국 내 연간 생산 능력은 총 120만 대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그룹은 미래차 분야 투자도 강화한다. 엔비디아와 함께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 개발을 진행 중이며, 자율주행 전문 기업 웨이모와는 자율주행 택시 서비스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미국 에너지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30억 달러 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를 구매할 계획도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번 투자가 미국 내 생산 확대를 통한 관세 리스크 대응 전략의 일환으로 보고 있다. 김태황 명지대 국제통상학과 교수는 “현지 공급망 구축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을 선제적으로 완충하려는 조치”라고 분석했다.
#현대자동차 #미국투자 #정의선 #트럼프대통령 #현대제철 #미국공장 #현지생산 #자동차산업 #미국일자리 #한미경제협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24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제프 랜드리 루이지애나 주지사 등 주요 인사들과 함께 이 같은 투자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정 회장은 “미국 산업의 미래를 위한 더 강력한 파트너가 될 수 있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대차는 훌륭한 기업”이라며 발표 현장에서 여러 차례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정 회장이 현대차 미국 공장 방문을 요청하자 “좋다”라고 즉석에서 화답하기도 했다. 그는 “현대차그룹이 미국에서 철강을 생산하고 자동차를 만들게 되므로 관세를 낼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번 투자에는 루이지애나주에 연간 270만 톤 규모의 전기로 일관제철소 신설이 포함된다. 이는 국내 기업이 해외에 짓는 세 번째 일관제철소로, 자동차용 강판을 현지에서 직접 생산해 미국 내 현대차 공장에 공급하게 된다. 해당 공장은 1400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지아주 서배너에 위치한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는 이번 주 준공된다. 해당 공장은 당초 30만 대 생산을 계획했으나, 향후 50만 대까지 확대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현대차의 미국 내 연간 생산 능력은 총 120만 대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그룹은 미래차 분야 투자도 강화한다. 엔비디아와 함께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 개발을 진행 중이며, 자율주행 전문 기업 웨이모와는 자율주행 택시 서비스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미국 에너지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30억 달러 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를 구매할 계획도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번 투자가 미국 내 생산 확대를 통한 관세 리스크 대응 전략의 일환으로 보고 있다. 김태황 명지대 국제통상학과 교수는 “현지 공급망 구축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을 선제적으로 완충하려는 조치”라고 분석했다.
#현대자동차 #미국투자 #정의선 #트럼프대통령 #현대제철 #미국공장 #현지생산 #자동차산업 #미국일자리 #한미경제협력